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19

Intellij : setting() { not recognize tests in test folder } 좀 특이한 케이스인 것같아 기록을 남김 인텔리제이가 환경 설정 적용되지 않을 때 주로 체크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.. - java 버전 체크 - File > Project Structure > Project > java 버전 체크 - File > Project Structure > Modules > Language level 버전 체크 - File > invalidated caches.. - Build > rebuild Project 문제 😵‍💫 이번엔 위에 있는 모든 것을 해도 src/test/java 하단 테스트 코드를 인식하지 못하였다 아이콘 비교 정상적으로 인식된 main 클래스에 비해 test 클래스는 그저 자바 파일로만 인식됨 ? 해결 👀 File > Project Structure > Mo.. 2024. 1. 5.
Git : ssh() { Github 에 SSH 등록 및 설정; } 물론 요즘엔 intellij에 Git 연동이 정말 잘 되어 있어서 터미널에서 이런 에러를 볼 기회가 자주 없다 나는 주로 git clone 을 ssh 가 아닌 https로 시작하는 버릇이 있어서 나같은 사람들을 위해 작성하는 포스팅 ㅎ remote: Support for password authentication was removed on August 13, 2021. remote: Please see https://docs.github.com/en/get-started/getting-started-with-git/about-remote-repositories#cloning-with-https-urls for information on currently recommended modes of authent.. 2023. 7. 20.
SpringBoot : healthCheck() { Spring Boot Actuator } Why Health Check ? 처음에 회사 코드에서 health check api를 발견했을 때, 조금 의아하기도 했다 이 단순한 api는 뭐지...? 조금 생각해보니 health check란건 꽤 간편하고 괜찮은 방안이었다 운영 환경에 있다보면 항상 예상할 수 없는 상황들이 발생하고 이게 애플리케이션의 문제인지, 환경의 문제인지 빠르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[aws 로드밸런서에서 타겟 그룹을 지정하고 헬스체크 api를 등록] 과정을 거치면, 로드밸런서 자체에서 주기적으로 http 요청을 보내고 200 상태를 응답하는지 확인해주는 등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⬇⬇ aws load balancing health check 문서 참고 더보기 https://docs.aws.amazon.com/ko.. 2023. 7. 9.
React : study(4) { React State } State react의 변수 역할 state가 바뀌면 화면을 새로 렌더링해준다 import { useState } from 'react'; state 속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리액트 패키지에서 useState 함수를 불러와야 한다 const [num, setNum] = useState(1); parameter로 초기값( == 1)을 전달 받은 후 함수가 실행되고 나면 결과 요소를 값 2개 배열 형태로 반환한다 ※ 배열의 두 요소 중, 1번째는 state, 즉 현재 변수의 값의 이름을 지어준다 2번째는 setter 역할의 메소드 명을 지어준다 -> 이 메소드를 호출할 때 마다 state가 바뀐다 해당 속성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변수를 컴포넌트에 명시 state로 만든 {num}에 적용하여 변수가 바뀔 때 마.. 2023. 2. 8.
React : study(3) { React Component, Props, Children } React Element 리액트로 화면을 그려내는데 가장 기본적인 요소 jsx 문법을 javascript 변수에 담아 활용할 수 있다 const root = ReactDOM.createRoot(document.getElementById('root')); const element = Dice Game; console.log(element); root.render(element); console에 기록한 element 변수의 값을 보면 결과적으로 javascript 객체로 반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React Element라고 한다 React Component React Element를 이용하여 커스텀 태그를 만들수도 있는데, 이를 React Component라고 한다. 본격적인 React 개발에서.. 2023. 1. 25.
React : study(2) { React JSX, Fragment } JSX 하단 코드처럼 js 파일 안에 HTML을 섞어서 쓸 수 있는 리액트의 확장 문법 root.render(실행 테스트); HTML 태그를 선언할 뿐만 아니라 id, className 등의 속성도 추가할 수 있다 ※ className : js 내 객체를 뜻하는 class와의 구분을 위해 HTML의 class 속성을 className이라 칭한다. 마찬가지로 for 역시 htmlFor로 사용한다. root.render( 실행 테스트); Fragment jsx 문법에서는 상단 예시처럼 1개의 태그에 한해서만 속성을 추가할 수 있다. 하지만 두 개 이상의 태그에 대해 속성을 추가한다면? 그럴때 fragment를 사용한다 import { Fragment } from 'react';// import 필요 (하단에.. 2023. 1. 21.